마케팅 / / 2023. 3. 4. 22:39

마케팅 시장조사 가설의 개념 특징 구조 분류

반응형

마케팅 사진자료

마케팅 시장조사 가설의 개념

가설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학문적이고 논리적으로 추론한 것이며 조사를 통해 검증 가능한 사실 언급한 것이다. 즉 가설은 연구 결과의 의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명할 수 있어야 한다. 가설은 실증적으로 확인해야 할 대상이고 구체적 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연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진실 여부가 규명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특징

가설은 두 개 이상의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해 놓은 하나의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가설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의 가장 큰 목적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가설이 참이라고 밝혀질 경우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고 가설이 거짓이라고 밝혀지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이라고 볼 때 가설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형태로 세워 줘야 한다. 둘째, 가설은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가설은 측정이 가능한 변수 간의 관계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는 특정변수의 값 또는 조건은 어떠하다의 형태로 세워지게 된다. 셋째, 가설은 검증 가능해야 한다. 실제 조사를 통해 확보되는 자료를 분석했을 때 가설을 참과 거짓 여부를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가설에서 제시된 변수들은 실제로 관찰 및 측정 가능한 형태가 되도록 정의되어야 하는 것이다.

구조

가설은 표현 방식 및 가설에 포함되는 변수들 간의 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첫째, 분석적인 문장 형태는 가설로써 설정된 문장이 항상 "참"인 경우이다. 분석적인 문장 형태의 가설이 "참"일 확률은 항상 1이 된다.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것이 그 예시이다. 둘째, 모순적인 문장 형태는 가설로 설정된 문장이 항상 "거짓"인 경우이다. 모순적인 문장 형태의 가설이 "참"일 확률은 항상 0이 된다. 사람은 물을 마시지 않고 살 수 있다는 것이 그 예시이다. 셋째, 종합적인 문자 형태는 가설로 설정된 문장이 "참"일 수도 있고 "거짓"일 수도 있는 경우이다. 종합적인 문장 형태의 가설은 "참"일 확률이 0과 1 사이가 된다. 사회 과학에서 가설로 사용되어야 할 상태는 이와 같은 종합적인 문장이 되어야 한다. 광고비의 지출이 많을수록 매출액이 증가한다라는 것이 그 예시이다. 넷째, 가설의 일반적 구조는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 언급한 문장이며 일반적인 구조는 마냥 일을 하면 이렇게 될 것이다 의 형태가 된다.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예로 들면, 하나의 변수에 대한 조건이 주어지면 다른 변수의 결과 어떻게 될 것인가가 가설로 설정되는 것이다. 먼저 제시되는 조건은 선행 조건이라고 하며 선행 조건이 이루어질 때 결과로 나타나는 조건을 결과 조건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선행 조건이 사실이면 결과 조건도 사실이라는 관계로 가설이 구성된다.

분류

가설은 적용 가능한 범위에 따라 일반 가설과 지역적 가설로 분류할 수 있다. 가설을 유도하는 것은 일정한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니며 연구자의 관심사 및 창의력 등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첫째 일반 가설은 모든 장소 및 시간에 관계없이 가설에서 언급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적용되는 경우이다. 연구자들은 증명하고자 하는 가설이 보다 적용범위 넓어지는 것 즉 일반화되는 것을 원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일반 가설에 가까워질수록 사회 현상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 가설이 "참"이라는 것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가산에서 언급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참"이 된다는 의미이므로 선행 조건이 따른 결과조건도 "참"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둘째, 지엽적 가설은 특수한 상황에서만 가설에서 언급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증명되는 가설이다. 연구자들은 대부분 일반가설을 희망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증명되는 가설은 생각보다 쉽지 않기 때문에 현실에서는 특정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셋째, 식별 가설은 특정한 사실의 성질과 기능, 형태를 묘사하기 위한 가설이다. 넷째, 설명적 가설은 사실 간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가설이다. "왜"라는 물음에 대한 답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특정한 조건이 주어지면 어떤 현상이 일어난다 의 형태로 표현된다. 다섯 번째, 귀무가설은 기각을 염두에 둔 가설이며, 차이나 관계가 없다는 형태로 표현된다. 여섯 번째, 연구 가설은 연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대답으로써 일반적으로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연구가설을 주장하게 되며 차이나 관계가 없다는 형태로 표현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